취리히 대학교 데이터 사이언스 석사 프로그램에 합격했다고 기뻐하며 글을 올렸던
것이 7개월 전인데요. 첫 학기가 끝나자마자 전공을 데이터 사이언스(Data
Science, DS)에서 인공지능(Artificial Intelligence, AI)으로 바꾸었습니다. 첫
학기만에 전공을 바꾸게 된 배경와 그 방법에 대해 자세히 말해볼게요.
Artificial Intelligence로 전공을 변경한 이유
전공을 변경한 이유에 드라마틱한 사연이 있거나 반전이 있는건 아니구요. 여전히 제가 하고 싶은 것은 데이터 사이언스입니다.
일단, 한 학기 동안 학교를 직접 다녀보면서 취리히 대학교 Informatics 석사 프로그램의 특성과 방향성을 알게 되었고 여기서 제가 하고자 하는 바를 명확히 해야겠다고 느꼈어요. 참고로 데이터 사이언스는 통계학(Statistics)과 컴퓨터과학(Computer Science)가 융합된 학문인데요. 베이스를 둘 중 어느 학문에 더 비중있게 두느냐에 따라 커리큘럼이 석사 프로그램마다, 학교마다 조금씩 차이가 납니다.
취리히 대학교의 데이터 관련 석사 프로그램은 Faculty of Business, Economics and Informatics의 Informatics 소속이에요. 그래서 컴퓨터과학의 비중이 큽니다. 석사과정 시작 전 필수로 수강해야 하는 학부 수업들이 있는데 software engineering에 대한 과목이 많기도 합니다. (필수 학부수업의 경우, 개인별 학부전공이나 이수한 과목에 따라 다를 수 있어요. 제가 컴퓨터공학 베이스가 부족해서 관련 수업이 더 많을 수 있습니다.)
제 자신의 방향성에 대해 생각해보자면, 저는 아직 관심있는 도메인이 명확하지 않아요. 학부에서 커뮤니케이션을 전공하긴 했지만 굳이 도메인을 학부시절 전공에 한정하지 않고 열린 마음으로 다른 도메인도 체험해보자고 결심했거든요. (사실 비전공자의 경우, 학부 시절 전공을 도메인으로 살리면 오히려 시너지가 납니다!)
그래서 아예 기술적으로 전문성을 키워 어느 도메인에서든 일을 시작할 수 있게끔 준비하고 싶거든요.(개인적으로는 여러 데이터와 모델을 경험하는 과정에서 관심 도메인이 명확해지길 희망합니다.) 학교의 석사 프로그램이 컴퓨터과학 베이스가 강하고 마침 저도 비전공자라 컴퓨터과학 지식이 약하다보니 오히려 이를 잘 활용해서 어렵더라도 기술적인 수업들을 집중적으로 듣고 싶어졌어요.
데이터 사이언스와 인공지능 전공의 차이점
DS 전공과 AI 전공의 필수과목들을 세부적으로 비교해볼게요. 먼저, 아래는 DS 전공의 핵심과목 리스트에요. 이중에서 골라서 기준 학점을 이수하면 됩니다.
- Foundation of Data Science
- Blockchain and Crypto Economics
- Combinational Algorithms
- Computational Science and Engineering
- Database Systems Lab
- Interactive-Visual Data Analysis
- Network Science
- Real Analysis 1
- Reinforcement Learning
- Statistical Foundations for Finance
- Advanced Machine Learning
-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Law
- Deep Learning
- Efficient Algorithms for Frequently Asked Questions
- Systems for Data Science
- XML and Database
그리고 아래는 AI 전공의 핵심과목 리스트에요.
- Advanced Topics in Artificial Intelligence
- Advanced Techniques of Machine Translation
- Combinational Algorithms
- Essentials in Text and Speech Processing
- Machine Learning for Natural Language Processing 1
- Network Science
- Real Analysis 1
- Reinforcement Learning
- Statistical Foundations for Finance
- Vision Algorithms for Mobile Robotics
- Advanced Machine Learning
- Artificial Intelligence: Technology and Law
- Computer Graphics
- Deep Learning
사실 DS와 AI는 공통된 과목이 많습니다. 제가 느끼기에 DS는 데이터 시각화나 비스니스(경영, 경제)적인 특성이 좀 더 가미되어 있어요. 하지만 AI 전공에서는 머신러닝과 인공지능에 대해 심화된 내용을 다루고 NLP(자연어 처리)에 대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어요. 저는 부전공이 Computational Linguistics이기 때문에 AI 전공이 더 시너지 효과가 날 것이라고 생각했어요.
그리고 AI 전공을 하면서도 선택과목으로 DS 전공 수업을 들을 수 있기 때문에 제가 계획만 잘 세운다면 DS 부분도 포괄할 수 있을 것 같았어요. (미래의 나, 열심히 살고 있을거라 믿어!)
그래서 인공지능으로 전공을 변경했습니다!
취리히 대학교 전공 변경하는 방법
다행히도 취리히 대학교에서 전공을 변경하는 것은 크게 어렵지 않았어요. 2025년 7월 기준 정책으로는 석사 과정 학생이 전공 변경을 원하는 경우, 새로운 전공 프로그램에 대한 심사를 받게 됩니다. 이 때 해당 전공 석사과정을 위한 필수과목이 변경될 수 있어요.
전공 변경에 대한 정책은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변경될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아래의 홈페이지를 통해 꼭 확인해주세요.
전공 변경 신청 시기
변경된 전공을 언제 적용할지에 따라 신청시기가 달라지니 잘 확인해주세요.
- 봄 학기에 변경된 전공을 적용하려면 5월 15일 ~ 8월 31일 내 신청
- 가을 학기에 변경된 전공을 적용하려면 11월 15일 ~ 1월 31일 내 신청
전공 변경 신청서 제출 방법
- 학생포털(student portal)에 접속
- My Requests and Invoices 클릭
- 하단의 Create Request 클릭
- Type of Request: Change of Degree of Study Program 선택
- 현재 전공 및 변경하고 싶은 전공 입력
아래는 제가 이번에 전공 변경을 신청할 때 입력했던 내용입니다.
신청서를 제출하면 2~3일 내 결과와 변경된 선수과목을 보내줍니다. 저의 경우 DS와 AI가 같은 단대여서 선수과목이 거의 비슷했고 미리 사전에 문의해서 알고 있었기 때문에 큰 지장은 없었어요.
하지만 선수과목이 많이 달라지면 학업계획이 크게 변경될 수 있기 때문에 이 점 꼭 주의하세요. 졸업시기나 선수과목 양을 잘 고민하신 후 전공 변경을 진행하시길 권장드립니다.
댓글 쓰기